지난번의 리뷰 Final 사의 B1에 이어 파이널의 플래그쉽 종결기 A8000를 데려왔습니다. 전작과 약 6개월의 텀을 두고 파이널의 최상급 기종이 출시된것인데 드라이버의 개수는 절반으로 줄었지만 사운드의 퀄리티는 엄청난 차이로 업그레이드 되었습니다. 한마디로 쉽게 정리하자면 B시리즈들을 더 다듬어서, 엄청난 퀄리티의 단일 드라이버로 더 완벽한 소리를 만들어냈습니다. 외관의 사이즈는 조금 더 커지고 무거워졌으며 그 차이는 꽤나 느껴질 정도입니다.
파이널의 플래그쉽 헤드폰의 이름은 D8000으로 후속 이어폰 A8000의 네이밍에 어떠한 의미가 담겼는지 알 수 있습니다. D8000은 헤드폰의 종결취급을 받는 평판형 드라이버를 채용하여 일반 DD의 진동판에서 생기는 소리의 왜곡을 최소한으로 줄인 현재 최신의 헤드폰 드라이버 기술을 이용해 만든 리시버입니다. A8000 또한 마찬가지로 다른 이어폰과는 매우 차별되는 고순도의 통 베릴륨을 드라이버로 사용했습니다.
이미 베릴륨은 Focal 사 의 헤드폰과 스피커의 드라이버로써 훌룡한 성능을 입증하였지만 원자재값이 워낙 비싸고 가공이 위험한 물질인 만큼 이어폰에서 통 베릴륨을 사용한 드라이버는 없었습니다. 파이널은 이전부터 뛰어난 금속 가공능력으로 유명했죠, 이번에는 그 가공능력을 위험물질인 베릴륨에까지 기꺼이 적용해 낸듯 합니다. 그만큼 파이널의 8000 네이밍은 자사 최고의 제품을 나타내는 회사의 자부심입니다
B시리즈에서 보이던 박스의 테이핑과 같은 형식입니다. 원 안의 A시리즈, 그리고 넘버링 8
B시리즈와의 가장 큰 차이점을 꼽자면 이 알루미늄과 실리콘이 결합된 케이스 입니다. B시리즈는 파이널사에서 2세대로 만든 실리콘 케이스로 알루미늄이 없이 오직 실리콘으로만 만들어져 있습니다. 즉, A8000의 케이스가 외부의 눌림과 같은 충격에서 유닛을 더 잘 보호해 줄 수 있습니다. 아쉽게도 별매가 아니라 일반사용자는 구매가 불가능합니다.
두번째 특징으로는 스테인리스 케이스를 지닌 이어폰으로 서로 닿을경우 상처가 생길 수 있지만 이번 케이스는 중앙에 막을 설치하여 이어폰 유닛 케이스 끼리 부딪힐 상황 자체를 차단하였습니다. 솔직히 B 시리즈에도 이런 디테일을 적용했다면 더욱 좋았을듯 싶습니다. A8000만의 특권일까요
상단에서 보시면 유닛이 분리되어 보관되는 모습을 더 잘 관찰하실 수 있습니다. 아무리봐도 이 케이스는 별매해도 되지 않을까 싶을정도로 만족스럽습니다. 사실 모든 이어폰이 충돌에 약하기 때문에..
A8000은 플래그쉽 답게 가격이 상당히 고가로 책정되어 있습니다. 200 중반을 자랑하는 엄청난 가격은 1DD 라는 드라이버 갯수에 비하면 지나친 가격으로 보일 수 있으나, 막상 들어본뒤에는 바로 가격에 대한 의문점이 사라질것이라 자부할 수 있습니다. 이제 사운드에 대한 리뷰 시작합니다.
A8000의 소리는 쉽게 정의하자면 B시리즈의 장점을 다 섞어둔 삼위일체 사운드입니다. B1의 퍼짐없는 단단한 저음에 2의 월등한 공간감, 3의 대중적임을 모두 섞어두었습니다. 저음의 양은 B1만큼 많지는 않지만 뛰어난 저음의 퀄리티는 유지하고있으며 치찰음은 줄어들었지만 더 뛰어난 해상력으로 맑은 소리를 들려줍니다. 보컬은 B1보다 앞에 나와있는 느낌입니다.
몇몇 유저분들은 치찰음이 심해 줄이려 여러 매칭을 시도하셨지만 저는 그럴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습니다. 특별하게 강조된 부분 없이 끝없이 맑게 이어지는 사운드는 게임을 해도, 신나는 여름 음악을 들어도, 비오는날 잔잔한 음악을 들어도 부족함이 없습니다. 특히 요즘 날씨처럼 변덕이 심하고 코로나덕에 집에 장시간동안 있어 여러 용도로 리시버를 사용하는경우 용도 구분없이 사용 가능한 편리함을 보여줍니다.
평범하지만 어디서 찾지 못하는 사운드를 제공합니다. 온전히 재미를 위한 튜닝은 없는듯 하지만 그 대신 모든 음 각각을 쏟아 보여주는 느낌입니다. 파이널이 최근 신경쓴 공간감에 관한 연구가 A8000에서 끝을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B 시리즈에서 각각의 특별함을 탄생시켜 공간감을 접목시켰다면 A8000은 휼롱하게 밸런스가 잡힌 소리를 매우 맑고 해상력 높게 들려주며 스피커만큼은 아니지만 이어폰에서 탑급의 위상이 잘 잡힌 공간감을 느끼게 해줍니다.
덕분에 명확한 강조대역이 없어 심심하다는 이유로 다른 이어폰을 집어드는순간 왜 A8000이 파이널의 역작인지 알게됩니다. 튠이 된 리시버와 비교를 하면 전체적으로 맑은 소리를 내면서 자신만의 소리를 찾는 A8000을 다시 듣게 만듭니다. 덕분에 시간을 두고 다른 제품 여러개와 비교하며 들을수록 매력을 찾고 이해하게 됩니다.듣자마자 너무 반듯하고 정직한 사운드에 질리지만 시간이 조금만 지나서 보면 그 정직함을 찾아 다시 돌아가는 모습입니다.
항상 고가의 이어폰을 청음할때 드는 생각은 이번 이어폰은 어떤걸 강조해서 내세웠을까 입니다. 음향기기는 윗급으로 이동할수록 가격의 상승폭이 성능의 향상폭이 매우 떨어지기 때문에 하이엔드로 올라갈수록 체급보다는 사운드 자체의 성향에 차이를 두는것이 보입니다.
그만큼 모니터링을 표방한 제품이 아니라면 플래그쉽들은 각 브랜드가 추구하는 개성이나 특별한 목적이 매우 강하게 드러난다는점이 있습니다. A8000은 개성과 밸런스를 모두 잡은 친구 입니다. 파이널의 D8000과 마찬가지로 완벽한 사운드 밸런스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모난곳이 없는 특별함을 느끼기 완벽한 이 제품으로 종결한 분도 꽤 계시지 않을까 싶습니다.
대부분 원음 재현에 충실한 제품들이 여러 유저층에게 공통적인 높은 평가를 받습니다. 사운드의 성향은 자신이 원하는대로 튜닝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전에 가장 중요한것은 가장 기본적인 상태에서 모든 사운드 대역을 높은 수준으로 재현해 낼 수 있느냐 입니다. 매우 뛰어난 기본 역량이 있어야 자신이 원하는 케이블이나 소스기기, EQ를 물려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사람으로부터 좋다는 평가 또한 받을 수 있습니다.
A8000은 모니터링에 가까운편의 소리를 들려주는 1DD 이어폰입니다. 좋은 재료는 준비되어있으니 자신의 입맛에 맛게 요리해 들어볼 가치가 높은 이어폰입니다. 특히 모든 장르를 틀어도 어울리는 이 친구는 더욱입니다.
여러 기기에 물려보며 느껴본 차이를 적으며 마무리 하려 합니다. 비교하는 소스기기는 맥북프로, FiiO Q3, 아이폰 11 pro + 꼬다리 입니다. 일단 가장 큰 차이가 체감되는건 역시 DAC겸 앰프인 Q3입니다. 맥북프로는 일반적인 노트북보다 높은 출력을 내는 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앰프답게 Q3에 연결했을때 A8000의 볼륨, 저음이 확실히 커진게 느껴지며 특히 가장 큰 차이는 보컬이 더 앞으로 나온 느낌이였습니다. 출력이 낮은 아이폰 꼬다리에서는 전체적으로 이어폰의 힘이 쭉 빠져있는 느낌이라 앰프의 중요성이 매우 크게 느껴집니다. 청음을 하실때에는 반드시 앰프와 함께 들어보세요. 이제 더 다양한 앰프를 갖추고 들어보는 음감생활도 시작할 때 입니다.
무조건 들어보면 좋은 대상 추천
맑으면서 모든소리가 고르게 잘 잡혀있는걸 좋아하는 사용자
단단하고 깔끔하게 떨어지는 저음을 좋아하는 사용자
평소에 파이널 오디오 제품을 자주 사용하는 사용자
일본의 오디오 브랜드인 만큼 A8000과 듣기 좋았던 노래 네곡을 선곡해 보았습니다. 오늘도 좋은 음감생활과 지름 하시길 바라며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https://youtu.be/BxqYUbNR-c0 - 사카낙션 / 잊을 수 없어
https://youtu.be/LIlZCmETvsY - 사카낙션 / 신 보물섬
https://youtu.be/nhOhFOoURnE - YOASOBI / RGB 三原色
https://youtu.be/YgmFIVOR1-I - ZUTOMAYO / Stay Foolish
본 리뷰에 사용된 제품은 셰에라자드로 부터 대여받았으며, 소정의 원고료를 지원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리뷰는 그 어느 개입, 영향없이 필자의 자유가 보장된 상태로 작성되었습니다.
'Audiophi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 시원한 이어폰 HUM Pristine-Reference IEM (0) | 2021.09.24 |
---|---|
FiR Audio의 마스코트 이어폰 VxV (FIVE x FIVE) (0) | 2021.08.21 |
소니 WF-1000XM4의 조금 긴 사용기 (0) | 2021.07.01 |
소니의 노이즈 캔슬링 신무기 SONY WF-1000XM4 둘러보기 (0) | 2021.06.24 |
명품을 구매한듯한 만족감 BeoPlay H95 언박싱, 후기 (0) | 2021.03.31 |